레진 3D 프린팅 QnA

치투박스 서포터 작업 시 아일랜드 확인하는 방법

나무 소리 2025. 2. 10. 23:51

https://cafe.naver.com/makerfac/244136

 

레진프린터 아직 설치전인데, 치투박스에서 섬 감지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레진 프린터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 분들은 서포터를 어디에 달아야 할지, 얼마나 달아야 할 지에

대해서 감을 못 잡는 경우가 많다. 얼마나 달아야 하느냐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장비가 내주는

광원의 세기나 설정한 출력 조건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지만 최소한 어디에 서포터를 달아야

하는지는 알아야 작업을 할 수 있다.

 

라떼먹던 옛날에는 슬라이서 툴이 그리 많지 않았지만 요즘은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툴이 치투박스이다. https://cc.chitubox.com/

 

CHITUBOX Customer Center

 

cc.chitubox.com

 

필자는 복셀댄스를 사용하고 있지만 가장 대중적인 툴인 치투박스를 배경으로 설명을 해보겠다.

 

 

1. 우측 상단의 서포터 작업 버튼을 누른다.

치투박스 아일랜드 확인하기-1

 

2. 다음과 같이 오버행 각도가 다른 색으로 표현된 화면이 나온다.

치투박스 아일랜드 확인하기-2

 

하지만 이 상태로는 아일랜드 한 점을 발견하기 힘들 것이다.

사실 치투박스든 어떤 슬라이서 툴도 아일랜드 한 점 만을 표시해 주는 소프트웨어는 본 적이 없다.

 

이럴 때 머릴 조금만 굴려보면 이런 작업을 해볼 수 있다.

Support Angle을 아주 작은 숫자로 넣어보는 것이다. 

 

처음 설치 후 기본값은 45도이다.

 

5~10 정도 혹은 그 이상도 좋다. 여하튼 작은 숫자를 넣으면 이렇게 첫 점에 해당하는 부위 주변이  모두 빨갛게 변한다.

슬라이드 바를 움직여서 실제로 이곳이 아일랜드에 해당하는지 확인해 보자.

 

슬라이드바, 설정된 레이어 두께만큼씩 단면을 볼 수 있다.

 

치투박스 슬라이드 바를 내려서 아일랜드가 맞는지 확인해보자.

 

치투박스 아일랜드 확인하기-3

정확히 아일랜드 한 점을 찍어주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어디부터 아일랜드가 시작되는지 알 수 있다.

 

필자도 프로버젼을 쓰고 있지 않아서 프로버젼에 대한 답변을 해주진 못하지만 지난 15년간 아일랜드만을

하나하나 찾아줬으면 하는 필요성은 느낀 적이 없다.

 

왜냐하면 아일랜드에 한 점을 찍는 것 만으로는 절대 출력이 성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훌륭한 품질로 출력을 해내기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서포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아일랜드가 어디 있는 지를 확인한다기보다 오토 서포터를 통해서 충분한 밀도로 서포터를 만들어내고 과한 부분을 지워주거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는 식으로 작업을 하는 것이 요즘 대부분의 유저가 사용하는 방법이다.

 

물론 아일랜드가 어디 있는지를 보고 레이어가 진행됨에 따라 오브젝트가 어떤 식으로 고체화되는 지를 생각해서 서포터를 수동으로 작업했을 때의 결과는 오토랑은 비교도 안될 정도의 퀄리티가 가능하긴 하다. 대신 상당히 연습이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고 취미정도의 유저라면 오토만으로도 아니 상용으로 사용하더라도 오토를 상당히 잘 사용하는 것이 요즘은 대부분의 추세라고 알고 있다.

 

그래도 그래도 그래도... 서포터를 어떤 곳에 어떻게 달아야 할지 출력의 방향을 어떻게 해야 할 지에 대한 좀 더 1차원 적인 고민을 하시는 분이라면 아래 영상을 한번 보시기 바란다.

 

상당히 지루할 수 있는 내용이긴 하지만 좀 더 근본적인 이해를 도와줄 수 있는 내용이 담겨있다.

영상이 꽤 기니까 여유로운 시간에 봐야 할 것이다. (흐흐흐...미리 엄포를 놔야지...)

 

아...그리고 제론 홈페이지에(http://zerone3d.cafe24.com/) 3D프린팅 교실이라는 섹션에 이것 저것 레진 프린팅 관련된 노하우나 내용들이 있으니 다른 내용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이다~라는 말과 함께 본문을 마친다.

 

다들 굿나잇~

 

 

 

https://www.youtube.com/watch?v=KGjMi39msi4

 

https://www.youtube.com/watch?v=MBpelVetO8Y

 

[본문은 원활한 집필을 위해서 높임말 공차 플러스 마이너스 제로로 되어있습니다. 구독자 분들의 양해를 부탁드립니다.]